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이야기

금융시장론) 단기 및 장기 금융시장

by 푸릇새싹 2020. 7. 2.

1. 단기금융시장

1) 단기금융시장 개념

- 만기가 1년 이내인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

- 자금거래 규모가 크고 신용도가 높은 거래자들이 일시적으로 현금이 부족하거나 과잉상태에 있을 때 자금 과부족을 조절하는 시장으로 도매시장의 성격

- 현금보유(무이자) 대신 단기라도 자금을 놀려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뜻

- 시장비중: 기업어음(CP)>통안증권>CD>>콜시장, 재정증권시장

 

 

2) 단기금융시장 특징

- 단기금융시장이 발달되면 차익거래가 활발해져 시장간 상호연계성도 높아져 통화정책효과의 파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

- 우리나라 단기금융시장에는 정부를 포함한 모든 경제주체들이 참여

 

2. 콜시장

1) 콜시장 개념 및 역사

- 콜이란 아주 단기에 회수되는 대차를 말한다.

- 금융기관 상호간에 여유자금을 운용하거나 부족자금을 일시적으로 조달하는 금융기관의 단기자금시장을 말한다

- 주로 전화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진다

- 금융기관들의 자금순환을 뒷받침하여 금융 중개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2) 콜 거래조건

- 담보제공 여부에 따라 구분

- 무담보콜이 대부분

- 콜 거래 금액은 최저 1억 원

- 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

 

 

3. 환매조건부매매시장(RP시장)

1) RP시장의 개념 및 역사

- 환매조건부매매는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확정금리를 보태 되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 중앙은행과 시중은행 사이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 안정성이 뛰어나고 환금성이 보장된다는 게 장점이다.

- 미국 RP시장은 은행, 증권기관, 헤지펀드, 지방정부, 연기금, 기업 등 다양한 기관들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있다.

*헤지 펀드: 레버리지 기법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손실로 최대한의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하는 투자 방식. 소수의 투자자들을 비공개로 모집하여 절대수익을 남기는 펀드

 

 

4. 양도성예금증서시장(CD시장)

1) CD시장의 개념 및 역사

- 양도성예금증서(CD)는 은행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한 것이다

- CD는 현재 예금보호대상이 아니다.

 

 

5. 기업어음시장(CP시장)

- 기업어음(CP)은 신용상태가 양호한 기업이 상거래와 관계없이 단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자기신용을 바탕으로 발행하는 만기가 1년 이내인 융통어음이다.

- 만기에 이자를 지급받는 예금과는 다르게 CP는 이자를 먼저 지급받은 후 이자를 제외한 금액을 투자하고 만기에 원금을 받는다.

 

최근 코로나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이 늘어나며 정부는 한국판 SPV(특별목적회사)를 10조원 규모로 설립하였다.

 

 

참고

https://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88052264&orderClick=JAj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2165901

10조 규모 저신용 회사채·CP 매입기구 설립…한은 8조 대출 | 기관 소식 | 정책·정보 | 정부24

기획재정부 2020.05.20 한은 SPV 지원 첫 사례…정부 1조 출자 바탕 산은 2조 지원 코로나19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저신용등급 기업의 회사채·CP(기업어음)·단기사채 발행 등을 지원하는 한국판 SPV(��

www.gov.kr

https://m.blog.naver.com/destrot87/220677490916

[경제용어][금리] 금리의 9 가지 종류 !! 금리 총정리

금리란? 금리란 무엇일까요 ? 바로 자금이 거래되는 금융시장에서 수요자가 공급자에게 자금을 빌린 대가로...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