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이야기

금융시장론) 통화 및 자본시장 이론

by 푸릇새싹 2020. 6. 14.

1) 통화: 은행권과 보조화폐로 이루어지는 현금통화와 당좌예금 및 이에 준하는 요구불예금으로 구성되는 예금통화

2) 화폐 기능

- 교환 수단

- 지불 수단: 가치의 기본단위 구실. 가격체제의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 손익이 계싼되는 근거. 대부를 할 때나 선물거래가 이루어질 때 연불의 수단

- 가치저장수단

- 가치척도 

3) 통화의 본위제도

- 본위제도: 본위화폐를 기초로 하여 화폐의 가치를 정하는 제도 EX)금본위제도, 은본위제도

- 국제적 균형 확보 가능.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발생할 부담 적다는 장점

- 하지만 한정된 금 보유량으로 통화 공급량 결정하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경제 안정화를 위해 통화정책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 적음

- 금 유출국에 있어서는 국내 물가수준의 심한 하락과 이에 따른 실업 등 국내적으로 많은 결함 존재

GDP 순위(12위)에 비해 금 보유량은 초라한 한국

4) 관리통화제도

- 케인즈 <화폐개혁론>에서 처음 등장

- 금과 통화간의 교환비율을 완전히 단절시키는 불환지폐를 발행하여 통용시키는 화폐제도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경제기구가 붕괴되고 각국은 저마다 국내적 균형유지와 완전고용수준의 실현 위해 통제경제의 체제로 이행하며 관리통화제도 실행

- 하지만 장기적으로 국제적 면을 무시하고 국내경제 성장과 안정을 이룩할 수 없음

- 모든 나라가 자국중심의 국제경제정책 취할 경우 균형 저해

-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국ㄱ의 관리통화제도의 국제적 협조를 목적으로 IMF 등장

- IMF는 출자한 기금에 따라 해당 국가에게 의결권 부여

 

압도적인 미국과 16위로 나름 선방(?) 한 한국(2019년 자료)

 

5) 통화의 수요·공급 이론1: 화폐수량설

- 가장 오래되고 지금까지도 매우 유력한 이론

- 통화량의 변화는 그 변화율과 같은 비율로 물가를 변화시킨 다는 것이 이론의 기본

- MV=PT  (M=통화량, V=화폐 유통속도, P=물가수준, T=일정 기간 동안 물적 거래량)

- V는 구조적·제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기에 대체로 일정, M의 변화는 T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보았음

- 따라서 M과 PT는 정비례 관계, 하지만 T는 현실적으로 계측하기 어려우므로 실질국민소득(y)을 대응변수로 사용

- 화폐수량설은 경기이론으로도 해석되어 옴

- 정책적 관점에서 물가수준 안정 이룩하기 위해 통화공급 적정량 유지, 경기회복 도모하기 위해 통화공급 증가시켜 물가 자극하는 방식으로 사용

- 케인즈 화폐이론의 등장으로 화폐수량설은 현실적·이론적으로 부정

- 케인즈는 화폐 유통속도가 안정적인게 아니기 때문에 통화량 변화가 물가 및 국민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으로 명확한 것이 아니라 주장

- 이에 대해 프리드먼 교수가 화폐 유통속도(V)와 실질생산량(실질소득y)이 일정하다는 가정 포기하고 새로운 화폐수량설 제시(화폐수량설 + 유동성선호설, V를 이자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로 취급)

 

6) 통화의 수요·공급 이론2: 유동성선호설

- 유동성선호설은 케인즈 이자율결정이론에서 화폐의 공급에 대해 화폐에 대한 수요를 결정하는 이론

- 유동성이란 어떤 자산이 그 가격의 손실 없이 즉석에서 일반적 구매력을 갖는 화폐와 교환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

- 화폐는 100% 유동성 가짐

- 화폐는 그 자체로는 아무 수익도 가져다주지 않음. 그럼에도 사람들이 화폐를 보유하고자 하는 동기를 케인즈는 세 가지로 분류

  • 거래적 동기
  • 예비적 동기
  • 투기적 동기

- 기존 이론에서는 통화량을 이자율과 독립적으로 보았음. 하지만 케인즈이론에서는 통화량과 경제전망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유동성선호가 이자율 결정하고 이것이 실물부문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이해 됨

 

7) 이자율 기간구조 이론

- 채권 만기별 금리가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근거가 되는 이론

-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이론 1: 기대이론

: 장기채권의 이자율이 단기이쟈율들의 평균과 일치할 것이라고 설명 EX) 5년 동안 1년 만기채권 이자율 평균 10%라면 5년 만기 가진 채권 이자율도 10%일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

-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이론 2: 분할시장이론

: 다른 만기를 가진 채권시장들은 완전히 분리돼 있다고 가정하는 이론

-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이론 3: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 투자자는 이자율 위험이 적은 단기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에 투자자가 장치채권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유동성 프리미엄이 제공되야 한다는 주장

- 세 가지 이론 중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음

 

8) 금융시장 가격결정 이론

- 해리 마코위츠는 투자 자산의 수익률뿐만 아니라 리스크를 중시해야 하며 개별 자산의 리스크보다 포트폴리오 전체의 리스크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

- 같은 리스크에서 기대수익률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가 효율적 포트폴리오

- 효율적 포트폴리오를 구하는데 필요한 기본 가정

  • 의사결정에 미치는 변수는 기대수익률과 리스크를 나타내는 수익률의 분산 두가지 뿐
  • 투자자들은 위험회피적
  • 모든 투자자들은 주어진 리스크 수준에서 가장 높은 기대수익률 추구
  • 모든 투자자들은 모든 위험자산의 기대수익률, 분산, 공분산에 대해 같은 기대
  • 모든 투자자들은 공통적인 1기간 투자

- 이 모형에서 개별자산들이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서로 움직이는지 알아내는 것이 관건

- 마코위츠&윌리엄 샤프는 특정 자산의 수익률이 다른 모든 자산들의 수익률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계산할 필요 없이 그 자산이 시장 전체의 수익률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 보면 된다고 함

- 이런 생각은 나중에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으로 체계화

E(rM)은 시장전체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을 말한다. 
베타는 자산i의 수익률이 시장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민감하게 따라 움직이는지 보여주는 계수이다.

 

 

참고

https://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88052264&orderClick=JAj

 

최신 금융시장론 - 교보문고

▶ 이 책은 최신 금융시장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최신 금융시장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www.kyobobook.co.kr

http://www.hani.co.kr/arti/economy/global/870033.html

 

우리는 금본위제로 돌아갈 수 있을까

Weconomy | 곽현수의 '차 한 잔'

www.hani.co.kr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93015557692026

 

[단독]세계은행·IMF 의결권, 한국 16위 vs 일본 2위…왜? - 머니투데이 뉴스

국제금융기구 14곳에 대한 한국의 출자·출연금 규모가 일본의 15%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세계은행(WB),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한국의 영향력이 일본보다 미비하다는 우려를 뒷받침��

news.mt.co.kr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179

 

<시사금융용어> 이자율 기간구조 - 연합인포맥스

◆이자율 기간구조란 채권 만기별로 각기 다른 금리에 대한 구조를 뜻한다. 만기별 금리가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근거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를 이자율 기간구조 이론이라고 한다.일반적으로

news.einfomax.co.kr

https://www.slideserve.com/terah/8-capital-asset-pricing-model-capm

 

8.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 CAPM

8.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 CAPM. Contents CAPM 이란 무엇인가 ? 자산의 균형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체계적 위험은 무엇이며 CAPM 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 CAPM 을 어떻게 �

www.slideserve.c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hatclouds&logNo=22023714515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5. 위험과 수익률 -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 CAPM )

1.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 Capital Asset Pricing Model : CAPM ) 1) CAPM은 1990년에 노벨 ...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