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 잡학사전입니다.
요즘 NFT가 핫합니다.
NFT라는 단어만 들어가도 트렌디해보여서 어딜가든 주목을 받죠.
그래서 기업들은 요즘 마케팅 수단으로 NFT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BBQ도 그랬고, 최근엔 신세계백화점에서 NFT 에어드랍 이벤트를 진행하는 거 같더라구요.
그런데 저는 요즘 NFT를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보고있습니다.
NFT가 스타트업 같은 자본구조가 취약한 기업들에게 새로운 자금조달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싶더라구요.
아시다시피 기업을 운영하는 데는 막대한 돈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주기적으로 여신이나 투자를 통해 자금을 수혈하죠.
하지만 여신은 상대적으로 고비용입니다. 또 은행에서 까다롭게 조건을 내걸어대니 받기가 만만치 않아요.
반면에 투자는 비용은 없지만 지분을 뺏깁니다. 지금 당장은 좋아도 나중에 경영권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죠.
그런데, NFT는 그런 위험이 없습니다.
NFT 제작에 드는 비용,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비용, 약간의 운영비용을 제외하면 사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수준입니다.
기업은 자기들의 잠재성을 알아보고 비전에 공감하는 사람 몇천명만 있으면, 저렴한 비용에 지분구조의 걱정없이 몇 억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된거죠.
투자의 성격이라 혹시 잘안되더라도 문제될 것도 없습니다. 물론 질타는 좀 받겠지만요.
NFT를 산다는 건 그 기업의 주주가 되는 것과 여러면에서 비슷합니다.
다른 점은 NFT를 산다는 건 굉장히 초기인 프로젝트에, 로드맵(White paper)과 같은 한정된 정보를 갖고, 잠재성을 믿고 사는거라 리스크가 굉장히 큰 기업의 주주(홀더)가 되는거죠.
그래서 NFT 발행사(?)는 홀더들에게 지속적인 보상을 약속하고, 주기적으로 AMA를 열어 프로젝트의 소식을 전하며 홀더들을 안정시킵니다.
근데, 약속은 원래 하는거보다 지키는게 어렵잖아요?
그래서 로드맵, AMA 대로 안하고 한탕 챙기고 러그풀하는 프로젝트가 많습니다.
하지만 몇몇 프로젝트는 그 어려운 걸 잘 지켜나가고 홀더들에게도 화리권 같은 형태로 보상을 확실하게 해줘서,
NFT가 발행가의 10배 100배까지 오르기도 합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이게 발행사에게도 좋습니다. 2차, 3차 발행을 통해 또 추가 자금을 수혈할 수도 있고 자기네들이 프로젝트 물량으로 빼놓은 NFT도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NFT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Early stage인 기업, 스타트업들에 좋은 자금조달방법이 될 수 있댜고 생각합니다. 특히 기본적인 팬층이 확실한 게임 제작사들, 일러스트레이터들이 NFT 발행에 잘 맞을 것 같습니다.
좋은 예시로 에코버스(Ecoverse)라는 샌드박스 기반 게임제작 그룹에서 발행한 NFT가 있습니다.
그들이 발행한 NFT는 초기가격이 20만원이었고, 1500개를 발행하여 약 3억의 자금을 마련했습니다.
그들은 자금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게임개발에 착수했고, 시장에서 잠재성을 인정받으며 현재, NFT 하나에 약 300만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초기 20만원에 NFT를 구매한 투자자는 15배의 수익을 거둔 거죠.
에코버스의 예시처럼 현재 NFT 시장은 조직의 실력만 보장된다면 어떤 조직이든지 원활하게 자금조달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그 옥석을 잘 가려내기만 한다면 투자자들은 10배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진짜 불장은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습니다.
여러 실력있는 조직들이 NFT를 새로운 자금조달의 방법으로 주목하여 참여하는 날이 곧 올 거라고 생각되며, 투자자들에게는 그때가 진짜 기회의 장이 될 것입니다.
'디지털 자산 이야기 > NFT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B] 마이펫바비즈 AMA 후기 : 운영진&중장기적 로드맵은 좋으나, 단기적 가격 부양이 가능할지는 미지수 (0) | 2022.04.03 |
---|---|
[NFT 바로 알기] (2) NFT의 용도 : PFP, Art, GameFi (0) | 2022.03.31 |
[NFT 바로 알기] (1) NFT 개념 (0) | 2022.03.30 |
NFT 시장의 미래(부제 : 무너지고 있는 클레이튼 기반 NFT 시장) (0) | 2022.03.01 |
[TORIX NFT] 버버리와 협업한 작가가 출시한 NFT(2월 17일부터 프리세일, 화리모집중)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