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자산 이야기/암호화폐 분석

[MBX] 급락한 이유, 가격 예측 (3) MBX 2.0 이제 시작이다

by 푸릇새싹 2022. 3. 29.

 

 

 

안녕하세요. 

 

투자 잡학사전입니다.

 

어제, 오늘 계속해서 MBX 토큰의 가격이 떨어져 현재는 54불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 고점이 72불이었으니, 33% 이상 하락한 가격입니다.

 

 

Coinmarketcap에 추적되기 시작한게 51.2불이니 거의 제자리로 돌아갔다고 보면 되겠네요.

 

 

하락의 요인은 간단합니다.

 

아직 넷마블의 P2E 게임들과 토큰이 연동되지 않아 사용처가 없고, 단기수익을 실현하려는 매물들이 많이 나와서 그렇죠.

 

 

그렇다면 앞으로, MBX의 가격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이를 알기 위해선 유통물량을 알아야 합니다.

 

MBX에서 밝힌 유통물량

 

 

MBX 발행물량 10억개 중 현재 유통되고 있는 물량은 전체의 0.5%, 500만개입니다.(넷마블에서 밝힌 수치)

 

이를 현재 거래되는 가격인 54불로 계산하면 marketcap은 3,308억 원입니다.

 

이는 위메이드 WEMIX(7,242억)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낮은 수치입니다.

 

 

 

하지만 거래되는 물량은 토큰 이코노미가 확장되며 지속해서 늘어날 겁니다.

 

MBX White paper 내 토큰 배분 계획

 

백서에 따르면 토큰 세일을 10%까지 한다고 했으니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할 때 물량이 추가로 풀릴거 같은데요,

0.5%에서 10%까지 20배의 물량이 풀리는 거니 가격 하락압박이 상당할 거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발행량 10억개 중 75%인 7.5억개를 에코시스템 활성화에 쓴다고 했으니,

락업기간이 있는 물량이라도 결국 상당수가 거래될 겁니다. 

 

 

 

물량이 앞으로 늘어날 건 알겠는데, 그럼 언제, 어느정도의 물량이 풀릴까요.

이걸 알아야 앞으로의 토큰 가격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위메이드의 코인 WEMIX와 비교하여 앞으로 풀릴 물량을 예상해보겠습니다.

 

 

WEMIX의 경우도 총 10억개의 물량이 발행되었고, 현재 1.2억개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12%의 수치네요.

 

2020년 10월에 빗썸에 상장된 후로 메이저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되었고, 1년 3개월이 지났는데도 생각보다 물량이 안풀렸습니다.

 

 

WEMIX White paper 내 토큰 분배 내용

WEMIX 또한 백서에서는 74%의 물량을 에코시스템, 10%의 물량을 private sale에 9%를 팀에 7%를 마케팅에 분배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그럼에도 아직까지 이정도의 물량만 풀린걸 보면, 장기 투자의 매력도가 더 높다고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같은 논리를 MBX에 적용해보면, 향후 1년 간 최대 12%의 물량이 풀릴 것으로 보고, 지금의 가격이 유지된다면 marketcap은 8조입니다.

 

 

다만, 다른점은 위믹스는 자체 소각모델이 없기 때문에 유통되는 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대신에 MBX는 거래되는 수수료의 절반을 소각하여 MBX의 가치를 유지하는 소각모델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물량 조절과 가치보존이 더 쉬울걸로 예상됩니다.

*얼마전 WEMIX에서 2000만개의 물량을 소각한 적이 있지만, 이는 팀물량을 푼 대가에 대한 투자자 보상 차원에서 실시한 일시적 조치입니다.

 

 

  위메이드 넷마블
토큰티거 WEMIX MBX
자본(토큰시총대비) 273억(3.7%) 5조 6506억(70.6%)
매출(토큰시총대비) 35.5억(0.5%) 2조 4848억(31%)
영업이익 2.9억 2720억
Token price $4.84 $54.6
Token MarketCap 7,242억 3,308억(현재),
8조(12%까지 풀린다고 가정 시)

 

 

두 회사의 자본, 매출, 영업이익과 토큰 가격을 비교해보면 넷마블의 MBX 토큰이 상대적으로 아직까지도 많이 저렴함을 알 수 있습니다.

 

 

 

 

3번의 단기적 하락에 따라 덤핑물량 대부분 해소 되어, 단기적으로 가격의 추가 하락 리스크도 적어보입니다.

 

24시간 거래량을 살펴보면, 현재 전일대비 10% 이상 하락하였으며, 이는 덤핑물량이 해소된 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MBX는 추가적인 서비스를 출시하며 MBX2.0으로 생태계를 더 확장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MBX와 Klaytn, MBX 기반 Game Token을 저장할 수 있는 WALLET이 3월 중순에 이미 출시되었고, 앞으로 MBX 기반 NFT Marketplace도 오픈할 것으로 보입니다.

 

 

넷마블은 2022년 내에 6종의 P2E 게임을 출시할 거라고 밝혔으며,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MBX 거래량도 늘어날 걸로 보입니다.

 

 

특히 이미 출시한 A3 Still alive의 경우 많은 플레이어들이 MBX로 교환할 수 있는 광석을 모으는 등 활발하게 게임을 즐기는 중입니다.

 

저도 플레이해보았는데, 굉장히 재밌더라구요.

 

 

여기까지가 제가 조사한 내용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투자 잡학사전이었습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의 목적이 아닌, 분석 및 정보전달의 글입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