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다...
금방 끝날거 같았던 하락장이 좀처럼 끝나지않으며 지갑도 점점 얇아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솟아날 구멍이 있는 법.
우리에겐 하락장에도 돈을 벌 수 있는 Defi 렌딩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디파이 렌딩은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디파이 렌딩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 거 같아, 간단하게 그 개념 및 원리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가겠습니다.
디파이 렌딩(DeFi lending): 탈중앙화된 거래소에 내 코인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 거래소에 유동성을 공급해준 렌더(lender)는 보상으로 해당 코인을 이자로 지급받는다.
그럼 본격적으로, 디파이 렌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파이 렌딩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코인 선택
(2) 거래소 선택
(3) 업비트로 코인 구매
(4) 해외 거래소로 코인 옮기기
(4-1) 코인 스왑
(4-2) 코인 판매 및 구입
(5) 코인 렌딩하기
어떤 코인을 선택하냐에 따라 (4-1, 2)는 생략 가능합니다.
(0) 준비물
코인 렌딩을 위해선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각각의 준비물을 어떻게 준비하는지는, 구글에 쳐보면 다 잘나오기 때문에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업비트 거래소 계정
- 팬텀 지갑 계정
- FTX 거래소 계정
- 현금
(1) 코인 선택
디파이 렌딩을 위해선 우선, 어떤 코인으로 렌딩을 할 지 선택해야 합니다.
코인 선택의 기준은 개인적으로 1. 이율(APR) 2. 안전성 3. 성장성 세 개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엔, 아틀라스(ATLAS) 코인을 선택했습니다.
거래소에서 지급하는 이자도 평균 20% 이상으로 나쁘지 않고, 공급량도 14.8 Million 달러이며 무엇보다 하락장이 끝나고 스타아틀라스 P2E 게임을 기반으로 향후 성장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2) 거래소 선택
다음으론 어떤 거래소를 통해 렌딩할 지 선택해야 합니다.
거래소를 선택하는 기준도 코인 선택의 기준과 비슷합니다. 1. 이율(APR) 2. 안정성 이 두가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틀라스 코인의 경우 렌딩이 가능한 거래소가 Tulip(튤립), Francium(프란시움) 등이 있는데요, 저는 프란시움을 선택했습니다.
프란시움이 튤립보다 이율도 높고, 출금할 때 수수료도 없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이율은 실시간으로 변합니다.
2022-01-23_17시 기준 | 이율(APR) | 공급량(Supply) | Fee |
튤립 | 21.31% | 14.8Million dollar | 10% on interest |
프란시움 | 84.58% | 2.17Million dollar | - |
*튤립 주소: https://tulip.garden/lend
*프란시움 주소: https://francium.io/app/lend
(3) 업비트로 코인 구매
이제 본격적으로 코인을 사봐야죠.
근데, 국내 거주하는 사람은 아틀라스 코인을 직접 구매할 수가 없습니다.
아틀라스 코인이 거래되는 거래소가 원화를 취급하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세부 절차를 또 밟아야 합니다.
1. 업비트로 '다른 코인'을 구매
2. '아틀라스 코인을 취급하는 거래소'로 코인을 옮기기.
3. 해당 코인을 판매하여 USD를 마련
4. 아틀라스 코인을 구매
'다른 코인'으로는 트론(TRX)을 추천합니다.
수수료가 저렴하고 전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업비트의 출금 수수료는 코인마다 0원~8만5천원까지 다른데요, 트론의 경우 71.5원으로 굉장히 저렴합니다.
*출금 수수료 확인 : http://moneyctrlcv.com/crypto/transactionfee/upbit
(4) 해외 거래소로 코인 옮기기
그럼 구매한 코인을 이제 해외 거래소로 옮깁니다.
코인이 어디에 상장되어 있는지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검색하여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star-atlas/markets/
아틀라스 코인의 경우 가장 많이 거래되는 거래소가 FTX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굳이 가장 많이 거래되는 거래소를 이용할 필요는 없지만, FTX 거래소는 수수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저는 FTX 거래소로 옮겨서 거래하는 편입니다.
*FTX 거래소 주소: https://ftx.com/
FTX 거래소로 트론이 옮겨지면 이제 판매를 해서 USD를 마련합니다.
그리고 그 USD로 아틀라스 코인을 사줍니다.
트론을 판매할 때는 시장가 보다 높게 매도,
아틀라스 코인을 살 때는 시장가 보다 낮게 매수를 걸어서 수수료로 나간 금액을 메꿔주면 좋겠죠.
(5) 코인 렌딩하기
렌딩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구매한 아틀라스 코인을 팬텀 지갑으로 옮겨준 후, 거래소에서 Connect 버튼을 통해 팬텀 지갑을 연결해줍니다.
그리고 거래소에서 아틀라스 코인을 찾아준 후, Deposit 버튼을 눌러주면 끝!
이렇게 렌딩을 하면, 하락장이지만 매일매일 늘어나는 코인을 보며 조금이나마 버틸 수 있습니다.
그럼, 저는 다시 코인이 오르는 날을 기다리며...
원화채굴하러... 갑니다.
'디지털 자산 이야기 > 암호화폐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i] 네버랜드 훅 코인 시세 및 근황(Feat. 로비니아 V2) (0) | 2022.02.19 |
---|---|
[스왑] 팬케이크 스왑 INSUFFICIENT_OUTPUT_AMOUNT 에러 해결법 (0) | 2022.02.17 |
[로비니아 스왑 V2 IFO] 터키 블록체인 전문기업 블록필드의 Defi 1.5, 제2의네버랜드 (1) | 2022.02.14 |
[Fantom DAO] 팬텀 오페라 체인기반 디파이 2.0 팬텀다오 (0) | 2022.02.08 |
하락장에도 돈 버는 방법(2) : P2E 게임(Feat. 제 2의 갈라게임 찾기) (0) | 2022.01.25 |